엉성함의 미학/글·사진 임석재 /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 엉성해 보이는 한옥 한옥은 엉성해 보인다. 요즘 기준으로 하면 짓다 만 것 같기도 하며 잘 봐줘야 애는 썼지만 마무리가 깔끔하지 못해 보인다. 부정적으로 말하자면 대충대충 한 것 같다. 한옥의 재래다움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다. 일단 재료부터 잘 다듬지를 않는다. 너무 흉해.. 산책 마당/예향 산책 2010.08.13
유불도 삼대사상/글·사진 임석재 /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 집단 무의식 형태의 사상과 철학이 스며든 건축 건축 사조에는 한 시대와 문명의 사상과 철학이 스며든다. 건물은 물리적 제한이 강한 장르이기 때문에 자칫 이것에 가려 사상과 철학이 약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건축가나 설계자가 작품성, 조형성, 미학 등의 기치 아래 의도.. 산책 마당/예향 산책 2010.08.13
한옥의 노장상,물아일체/글·사진 임석재 /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 한옥의 노장사상, 비움과 3무사상 노장사상은 좁게는 유교의 사회참여에 반대해서 생긴 사상이며 크게는 인간의 물욕을 경계하는 가르침을 주요 내용으로 갖는다. 물질, 명예, 경쟁, 승리 같은 성공 일변도로 편성된 사회적 상식의 허점을 찾아내 이런 것들이 얼마나 인간을 힘들게 만들고 피폐화시키.. 산책 마당/예향 산책 2010.08.13
불교사상으로 보는 한옥/글·사진 임석재 /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 비움과 불이사상 한옥과 불교는 연관성이 가장 적어 보인다. 유교시대 반가인 한옥은 국시를 충실히 좇았다면 불교를 배척하는 집이 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한옥에는 불교 사상의 영향을 추적할만한 내용들이 발견된다. 제일 대표적인 것이 안팎 사이에 구별이 약한 한옥 공간의 특징으로 이는 불교.. 산책 마당/예향 산책 2010.08.13
예천군, 금당실 전통마을 체험관 준공 허리춤 높이까지 올라오는 낮은 돌담. 구불구불 유선형으로 길을 안내한다. 고택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돌담길의 끝에는 집집마다 대문이 활짝 열려 있다. 조선시대 반촌의 으리으리함보다 우리네 고향 인심을 느낄 수 있는 마을. 금당실의 돌담길에 서면 조선시대 선비라도 된 양, 느긋한 여유가 생긴.. 산책 마당/예향 산책 2010.08.13
[스크랩] 태풍 뎨무(DIANMU)가 지나간 제주 태풍 뎨무(DIANMU) Ofica 태풍 뎨무(DIANMU)가 제주 곳곳에 피해를 주고 갔지만, 마을과 주변, 저희는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고 지나간 것 같습니다. 소형에서 중형으로 바뀐 후에 3년 만에 오는 태풍이라 긴장과 대비를 충분히 하였습니다만 밤에 강한 바람과 비가 밤을 설칠 정도로 걱정이 많았습니다. 고흥.. 산책 마당/예향 산책 2010.08.12
보기 힘든 귀한 자료-스크랩/백두산문협 보기 힘든 귀한 자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1952-01-21) 공산권·중립국가 휴전선 감시위원단 탈퇴요구 시위(1955-08-13) 미스코리아 결선대회 출전자들의 수영복 심사광경(1957-05-14) 우량아 선발대회에서 입상한 아기들(1957-05-15 ) 성형수술 장면(1957-08-27) 약현성당을 방문한 로마교황사절 환영 플래카드(1959-0.. 산책 마당/예향 산책 2010.07.11
국가별 공동체 네트워크 [다문화 시대, 교회는 지금] (8) 국가별 공동체 네트워크 - 수원 엠마우스[다문화 시대, 교회는 지금] (8) 국가별 공동체 네트워크 - 수원 엠마우스 공동체 교류·연대로 여는 다문화 시대, ‘일치·통합·자활’ 목표로 국가나 종교에 국한되지 않고 모두가 하나되는 진정한 ‘다문화의 길’ 가기 위해 .. 산책 마당/애덕의 향기 2010.07.05
국내 이주민 유입 양상의 변화와 흐름 ② [다문화 시대, 교회는 지금] 한국교회 이주사목 역사 (4) - 국내 이주민 유입 양상의 변화와 흐름 ②[다문화 시대, 교회는 지금] 한국교회 이주사목 역사 (4) - 국내 이주민 유입 양상의 변화와 흐름 ② 외국인 노동자 급증에 따른 교회의 발빠른 대처외국인 노동자 급증에 따른 교회의 발빠른 대처 ■ 88올.. 산책 마당/애덕의 향기 2010.07.05
다문화 시대, 교회는 지금 [다문화 시대, 교회는 지금] 각 교구 이주사목 현황 - 대전교구(하)[다문화 시대, 교회는 지금] 각 교구 이주사목 현황 - 대전교구(하) 궁극적 목표는 ‘신앙’으로 이끄는 것궁극적 목표는 ‘신앙’으로 이끄는 것 대전교구 이주사목부(담당 맹상학 신부)의 최종목표는 이주민들에 대한 복지사업이나 .. 산책 마당/애덕의 향기 2010.07.05